전체 글
게임 좋아합니다. 연락처: khd1323@naver.com 깃허브: https://github.com/virtus2반복자를 사용할 때 얻는 이점 컨테이너의 요소들에 직접 접근하는 대신 반복자를 사용하는 경우 얻는 가장 중요한 이득은 다음과 같다. 직접 접근하는 방식은 클래스의 캡슐화를 무너뜨린다. 반면 반복자는 컨테이너의 구현 세부사항을 외부에 노출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순회 할 수 있다. 반복자는 순회 과정을 단순화한다. 대부분의 반복자는 배열의 인덱스나 포인터와 비슷하게 동작하기 때문에 순회할 때는 간단한 루프를 짜 반복자를 증가시켜가며 끝나는 조건과 비교하면 된다. 번외 postincrement(i++)와 preincrement(++i) 연산자의 차이는 뭘까? preincrement 전치 증가 연산자 증가를 끝내고 난 후 피연산자의 값을 리턴. 포인터나 반복자를 증가시킨 후 그에 대한 참조를 리턴하면 됨. ..
SIMD (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) Data Oriented design Functional Programming +Functional Reactive Programming 공간분할 자료구조(맞나?) CRC-32, MD5 Copy-on-write Intrusive list 이 외 좀 더 몇가지
책을 사게 된 이유는... 유니티를 쓰면서도 이게 어떤 원리로 되는건지 엔진이 어떻게 객체나 메모리 등등을 관리하는지 그래픽 연산을 어떻게 하는지 궁금했기 때문이다. 딱히 유니티에 국한된 내용은 아니고 전반적인 내용이 담겨져 있다. 책 초반부분인 게임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수학, c++ 지식정도를 읽고 있는데, 처음 알게되어 신기한점들도 있고 알쏭달쏭한 점도 있고 그렇다. 특히 SIMD나 바이트(비트) 관련한 컴파일러의 최적화나 엔진의 사용법은... 말로만 들었지 실제 사용법을 보는건 처음인 것 같다. 일단 계속 읽어봐야 겠다.